다시 찾아온 역전세 시대
전세 제도는 한국에만 있는 특이한 제도입니다. 임차인이 일정 금액을 주고 집에 거주할 수 있는 임차권을 얻는 것이지만 집주인 입장에서는 임차인의 돈을 레버리지 도구로 사용하는 제도입니다. 이 제도는 집값이 상승할 때는 별로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. 하지만 최근 다시 찾아온 부동산 하락장에서는 역전세 말 그대로 전세보증금이 매매금액보다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. 역전세 시대에서 집주인과 임차인은 자기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? 역전세 뭐가 문제일까? 역전세는 말 그대로 매매가 보다 전세가가 더 높아진 상황입니다. 집을 담보로 레버리지를 일으켰는데 담보물의 가치가 떨어진 상황입니다. 전세 만기가 다가와서 임차인이 보증금 반환을 요구하면 집주인은 새로운 임차인을 찾아 보증금을 내어 주게 됩니다..